매년 고속 성장 ‘AI 신약개발’ 글로벌 시장…국내 시장은 '지지부진'
국내출처: 약업신문
[원문바로가기]
글로벌 AI 신약개발 시장이 최근 연평균 40%씩 크게 성장하고 있는 반면 국내 기업들은 정부의 지원 미흡으로 성장이 미흡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과학적 근거 마련과 인력양성, R&D 지원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최근 발간한 ‘인공지능(AI) 신약개발 글로벌 시장 및 협력 현황’ 브리프를 통해 AI 신약개발 글로벌 시장 규모가 지난해 9억270만 달러로 연평균 40.2% 성장세를 유지했으며, 오는 2028년 48억9360만 달러 규모에 도달한다는 전망을 내놓았다.
전통적인 신약개발은 10~15년의 기간과 평균 1~2조원 이상의 비용이 소요되며 약 1만개의 후보물질 중 고작 0.01%에 불과한 1개가 신약으로 출시되고 있으나, AI 신약개발은 임상데이터와 신약개발에 적합한 AI 알고리즘을 활용함으로써 비용과 시간을 크게 절감한다는 것이다.
글로벌 제약기업들은 신약개발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줄이기 위해 AI와 빅데이터 등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혁신 협력을 매년 확대하고 있다. 미국 FDA도 AI 신약개발 관련 승인 요청이 증가하고 있다. 이처럼 세계 각국은 막대한 시간과 비용이 들고 불확실성이 높은 신약개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AI를 활용한 신약개발 분야에 많은 정책 자금을 투입하고 연구개발을 지원하고 있다.
(중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