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국내외 기사

[여명] 세상에 없던 AI 신약이 온다
국내
  • 작성자
  • 작성일자
  • 조회79

출처: 서울경제

[본문바로가기]


<김정곤 바이오부장>

AI는 산업 패러다임 바꾸는 '게임체인저'

바이오 생명공학 기술에 날개 달아줄 것

불·바퀴처럼 인류역사 바꿀 새로운 물결

난치병 극복 넘어 삶의질 높일 혁명 기대


마이크로소프트(MS)의 인공지능(AI) 최고경영자(CEO)인 무스타파 슐레이만. 그는 알파고 개발의 주역이자 세계 최고의 AI 기업 딥마인드 창립자로 더 유명하다. 슐레이만은 역저 ‘더 커밍 웨이브(The Coming Wave)’에서 AI 기술이 몰고 온 인류의 획기적인 변화상을 소개하고 곧 다가올 미래를 폭넓게 전망했다. 불과 바퀴, 전기의 발명이 인류의 역사를 완전히 바꿨듯이 앞으로 AI 기술이 이 같은 역할을 할 것이라고 예상한다.

슐레이만의 분석과 전망대로 AI 기술은 지난 10년간 전례 없는 획기적인 발전을 이뤘다. 정보기술(IT) 분야와 빅데이터 분석은 물론이고 일상생활 곳곳에서 AI 기술이 적용되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다. 그는 앞으로 다가올 새로운 물결로 제약·바이오 산업과 직접 연결되는 생명공학을 꼽았다. 슐레이만은 “인류의 운명을 결정할 새로운 물결은 AI와 생명공학”이라며 “다가오는 물결은 AI와 합성생물학이라는 두 가지 핵심 기술로 정의된다”고 선언했다.

실제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AI 기술에 거는 기대는 그 어떤 산업군보다 크다. AI 기술 덕분에 신약 연구개발(R&D) 속도가 예상을 뛰어넘을 정도로 빨라지고 암 같은 난치성 질환 정복도 곧 가능해질 것이라는 희망 섞인 기대가 나온다. 신약 개발 과정은 평균 10년 이상 걸리는 장기전이다. 신약 후보 물질 발굴부터 전 임상, 임상 1상, 2상, 3상을 거쳐 식품의약품안전처나 미국 식품의약국(FDA) 등 감독기관의 승인을 얻어 상용화되기까지 수많은 성공과 실패의 갈림길에 선다. 규모가 작은 바이오벤처는 이 과정에서 기업의 생사가 결정된다.

(중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