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국내외 기사

'증시에서도 핫해'…제2코로나 막을 AI 기술 뭐길래
국내
  • 작성자
  • 작성일자
  • 조회42

출처: 비즈워치

[원문바로가기]


AI(인공지능) 신약개발 기술이 넥스트 팬데믹(신종 감염병 대유행)을 막을 게임 체인저로 주목받고 있다. 단기간에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어서다. 최근 중국에서 제2의 코로나로 불릴만한 호흡기 감염병이 급격히 확산되자 국내 AI 신약개발사의 주가가 뚜렷이 상승하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했다.

글로벌 제약사들 사이에서는 신속한 개발로 코로나19 종식에 기여한 mRNA(메신저리보핵산) 백신에 AI 기술을 접목하는 시도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정보통신기술(ICT) 분야에나 어울릴 법한 AI가 신규 감염병에 맞서 백신 개발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시킬 기술로 부상하고 있다.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AI 신약개발사인 온코크로스와 파로스아이바이오의 주가는 연초 부터 나란히 뛰어 올랐다. 특히 온코크로스의 주가는 7일 종가 기준으로 작년말 대비 34.3% 오르면서 같은 기간 코스닥 지수 상승률(5.9%)을 6배나 웃돌았다.

연초 이후 중국 내 호흡기감염병 확산세가 심상치 않은 가운데 향후 사태가 심각해지면 두 회사가 보유한 AI 신약개발 기술이 치료제를 발굴하는 선두 역할을 할 것이란 기대감 때문으로 분석된다.

현재 중국에서는 기침, 콧물 등 독감과 유사한 증상을 유발하는 '인간 메타뉴모바이러스(hMPV)'가 유행하고 있다. hMPV는 아직 세계적으로 치료제와 백신이 개발되지 않은 상태다.

AI는 방대한 생물학적 데이터를 처리해 신약개발에 투입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글로벌 컨설팅 기업인 보스턴컨설팅그룹이 국제 의료연구재단과 수행한 연구에서 AI는 신약후보물질을 발굴해 임상 전 단계까지 개발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25~50%까지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미국과 홍콩에 본사를 둔 AI 신약개발사인 인실리코메디슨은 폐질환 신약후보물질을 46일만에 발굴해 현재 임상 2상 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온코크로스는 코로나19가 창궐한 지난 2020년 자체 AI 신약개발 플랫폼을 활용해 2개월 만에 다수의 치료후보물질을 발굴한 적도 있다. 여기에는 세계 최초로 코로나19 치료제로 허가받은 '렘데시비르'보다 우수한 후보물질 3개가 포함됐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온코크로스 관계자는 "넥스트 팬데믹에 대비해 치료후보물질을 빠르게 발굴할 수 있는 능력을 입증했다"며 "렘데시비르보다 우수한 물질을 3개 찾았고 이 중 한 개를 직접 개발하려고 했으나 시간 등의 문제로 논문만을 발표한 상황"이라고 했다.


(중략)